에코델타시티, 신기술의 친수 도시로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로 선정된 부산 에코델타시티와 세종시 5-1생활권 사업 추진을 위한 밑그림이 나왔다.
② 친환경 물 특화 도시 (Smart Water City)
■사람·자연·기술이 어우러진 도시
스마트도시 교통은 자율주행차 맞춤형 교통신호 제어 지능형 버스정류장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으로 시민 1인당 연간 127시간을 절약할 것으로 분석됐다.
스마트 시티 국가 시범도시…4차산업혁명위·국토부 구상
수열에너지 등 친환경 접목, 한국형 ‘물순환 도시’로 조성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로 선정된 부산 에코델타시티와 세종시 5-1생활권 사업 추진을 위한 밑그림이 나왔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와 국토교통부는 16일 서울 상암 DMC 첨단산업센터에서 국가 시범도시 기본구상을 발표했다. 앞서 정부는 4차산업혁명 관련 신기술을 실증·접목하고 혁신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지난 1월 부산 에코델타시티와 세종시 5-1생활권을 미래 스마트시티 시범도시로 선정했다.
이날 발표된 부산 에코델타시티 시범도시의 비전은 ‘자연·사람·기술이 만나 미래의 생활을 앞당기는 글로벌 혁신 성장 도시’다. 기존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미래도시 조성을 위해 ▷혁신 산업생태계 도시(Smart Tech City) ▷친환경 물 특화 도시(Smart Water City) ▷상상이 현실이 되는 도시(Smart Digital City) 등 3대 특화전략도 제시됐다.
‘혁신산업생태계 도시’는 공항과 항만 산업단지와 인접한 지리적 장점을 활용,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다양한 첨단산업을 유치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꾀하는 방안이다. ‘친환경 물 특화도시’는 시범도시 내 3개의 물길이 만나는 세물머리 수변공간을 활용해 수자원 관리와 수열에너지, 저영향개발(LID) 등 물 관련 신기술을 접목한 한국형 물순환 도시의 모델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상상이 현실이 되는 도시’는 VR·AR 및 BIM 기술, 3D 맵 기반의 가상도시를 구축해 도시 계획에서부터 건설 운영 관리단계에 이르기까지 온라인 의견수렴 및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인공지능 도시를 조성하는 것이다.
세종시 5-1생활권은 ‘시민행복을 높이고 창조적 기회를 제공하는 지속 가능한 플랫폼으로서의 도시’ 비전이 제시됐다. 시민 행복을 위한 7대 혁신 서비스가 도출됐으며, 이 가운데 ▷모빌리티 ▷헬스케어 ▷교육 ▷에너지와 환경 등 4대 핵심요소를 중점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국토부는 이 같은 구상안을 토대로 연말까지 전문가와 기업·지자체의 의견을 수렴한 뒤 내년 상반기 실시설계를 완료, 하반기에는 스마트시티 조성공사에 착수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스마트시티 시범도시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국가 지원이 인정되는 분야에 대해서는 예산 지원 등 민간 참여 확대를 위한 선제적 투자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손병석 제1차관은 “이번에 공개된 기본구상을 보완·발전시켜 시행계획을 연내 마련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에코델타시티 시범도시 3대 특화 전략
① 혁신 산업생태계 도시 (Smart Tech City)
② 친환경 물 특화 도시 (Smart Water City)
③ 상상이 현실이 되는 도시 (Smart Digital City)
사람중심 미래·혁신성장에 초점…‘SWEET(안전·물·에너지·일자리·교통)’ 해결 기대
# 미래 도시 국내 첫 모델
- ‘스마트시티 1번가’ ‘리빙랩’ 등
- 시민이 직접 설계·공동체 생활
- 교통·물·에너지·미세먼지 등
- 혁신기술로 관리, 안전 보장
# 혁신성장 거점도시
- 인근 도시기반 시설 장점 활용
- 4차 산업혁명 연계 일자리 창출
- “기능 열거… 구체성 낮아” 지적도
정부가 16일 발표한 부산 에코델타시티 내 스마트시티 기본 구상안은 첨단 미래도시와 혁신성장 거점도시에 초점이 맞춰졌다. 부산 강서구 일대 에코델타시티(11.77㎢) 중간지점에 조성될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는 2.2㎢ 규모에 불과하지만, 미래 도시형태의 국내 첫 모델이라는 점에서 갖는 의미는 크다.
■사람·자연·기술이 어우러진 도시
이번 정부의 구상안에서 제시된 3대 특화전략은 다시 7대 핵심 콘텐츠로 세분된다. 첫째 사람 중심의 스마트 도시 디자인이다. 어디에서나 수변과 공원을 접할 수 있고, 대중교통 중심의 도심은 개인차량이 없어도 불편을 느낄 수 없도록 이동권을 보장한다.
둘째는 시민이 직접 만드는 도시다. 도시 계획단계부터 입주까지 전 과정에 시민과 민간전문가가 참여하는 시민 참여(소통) 플랫폼 ‘스마트시티 1번가’를 온·오프라인으로 병행하게 된다. 셋째는 시민·사용자가 직접 혁신활동의 주체가 되는 공동체인 ‘리빙랩’을 구축한다.
네 번째는 R&D 플러그인(Plug-in) 도시다. 도시에 필요한 연구개발 기술의 실증·사업화를 지원하고, 혁신기술 적용성이 쉽도록 유연하고 지속발전 가능한 도시를 조성하는 것이다. 다섯 번째는 스마트시티 신기술을 도입하고 지속 가능한 혁신 생태계 구축을 위한 도시의 체계를 완비하는 것이다. 여섯 번째는 개방형 빅데이터 도시다. 마지막으로 시민 체감형 혁신기술이다.
■‘SWEET’ 효과 … 혁신성장 미흡
정부는 스마트도시의 기대효과를 ‘SWEET’로 압축했다. Safety(안전) Water(물) Energy(에너지) Employment(일자리) Transport(교통)가 그것이다.
안전은 가상도시 플랫폼 구축과 위치정보 제공 서비스, 지능형 CCTV, 미세먼지 예보 서비스를 통해 1년 내내 시민을 안전하게 하고 범죄로부터 지켜준다. 물 분야는 스마트 물관리 기술로 정수기가 필요 없는 최초의 도시로 조성하는 것은 물론 24시간 공공수역 화학물질 유입 감시, 실시간 수질예측 수질정보도 제공하게 된다.
에너지 분야에서는 신재생 에너지와 수열에너지, 수소 연료전지, 초고효율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도입을 통해, 가정별 전기요금 걱정 없는 ‘제로 에너지 시티’가 가능해진다.
일자리 분야에서는 스타트업 육성, 글로벌 기업유치, 스마트 R&D 밸리 조성, 산업생태계 지원센터 운영으로 4차 산업혁명과 연계한 일자리 창출 도시로 거듭나게 된다.
스마트도시 교통은 자율주행차 맞춤형 교통신호 제어 지능형 버스정류장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으로 시민 1인당 연간 127시간을 절약할 것으로 분석됐다.
정부가 스마트시티 조성 목표로 설정한 ‘4차산업혁명 관련 신기술 실증·접목과 혁신 산업 생태계 조성’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혁신산업 부문이 상대적으로 비중이 약화된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기본 구상안 가운데 혁신산업 조성은 ‘일자리 분야’가 유일하게 제시됐지만 첨단도시기능을 열거한 ‘신기술 접목’에 비해 구체성이 현저히 떨어졌다.
이민용 기자 mylee@kookje.co.kr
'뉴스 & 개발계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상공단 재생 10년 만에 시동 (0) | 2018.12.19 |
---|---|
2018년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 보도자료 (0) | 2018.09.01 |
부산 도심 대개조 프로젝트(철도재생 뉴딜사업) (0) | 2018.06.20 |
김해 대동첨단산업단지 보상금 통지 (0) | 2018.06.20 |
오거돈당선인"가덕신공항 재추진?" (0) | 2018.06.16 |
댓글